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

인공 심장박동기, 삽입형제세동기 삽입술 하기전 알아야 할것!(주의사항, 세부비용)

by 남자 간호사 2023. 11. 5.

많은 사람들이 부정맥이라고 하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이러한 부정맥을 대수롭게 넘기는 사람도 있는 반면에 심하게 걱정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부정맥은 치료하지 않거나 약으로 해결이 됩니다. 약으로 해결되지 않는 부정맥들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일시적(Temoporary) 또는 영구적(Permanent) 인공 심박동기 삽입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어떠한 부정맥이 영구형 심박동기 삽입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고 시술 전 후 주의사항 그리고 인공 심박동기 삽입술 관련 비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공 심장박동기, 제세동기 삽입이 필요한 경우

 

<인공 심장박동기(ICD.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동성 서맥 및 서맥성 부정맥(심박동 수가 60회 이하 부정맥)인 경우 실신, 어지러움,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와 24시간 심전도(Holter) 또는 Ekg 결과 A-V block 즉 방실차단 등이 있는 경우 인공 심박동기 삽입술이 고려됩니다.

 

이때 인공 심장박동기의 목적은 심장의 적정량의 심박출량을 제공하기 위함과 부정맥을 없애기 위해 심장에 자극을 주기 위함입니다.

 

인공 심장박동기는 아래 글에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공 심장박동기 삽입술(Pacemaker) 적응증 , 유형, 삽입절차, 작동모드, 관리, 부작용

인공심장[심장 박동] 조절기, 조율기라고도 하는 이 기계는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가슴에 이식된 소형 의료기기입니다. 본인이나 사랑하는 사람이 심박조율기를 추천

nurseman.tistory.com

 

<삽입형 제세동기(P-PMK. Permanent Pacemaker)>

갑작스러운 사망을 유발하는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을 기계가 스스로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충격을 심장에 가해서 환자의 생명을 유지시키기 위함입니다. 이때 인공 심장박동기와의 다른 점은 제세동기 기계가 인공심장박동기에 비해 큽니다. 그리고 기계오작동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인공 심장박동기, 제세동기 삽입 전후 주의사항

 

 

● 혈관 조영술을 통해 좌측쇄골하정맥의 혈관이 좁아져있거나 기형이 있는 경우 오른쪽에 삽입하거나 삽입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 담당의사와 상담 후 시술 전 일주일 전부터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등의 복용 중단을 합니다.

 

● 시술 후 1주일 동안 삽입한 팔을 가능한 사용하지 말고 2주동안 팔을 드는 것을 가급적 자제합니다. 시술 부위 실밥을 제거한 후 물이 딱지가 생기기 전까지는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합니다.

 

● 시술 이후에도 어지러운 증상이 있거나 서맥 또는 빈맥 등의 증상이 지속될 경우 담당 의사의 진료를 봐야 합니다.

 

● 삽입한 심장박동기 또는 제세동기의 경우 3개월 마다 작동과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배터리 상태를 확인합니다. 제세동기의 경우 전기 충격을 감지했을 때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 시술 후 자기공명촬영(MRI)는 기계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에 반드시 기계 삽입을 하고 있다는 카드를 의료진에게 보여주고 알립니다. 반면에 엑스레이, 초음파, CT 촬영 등은 안전합니다.

 

● 시술 후 제약이 거의 없으므로 일상생활, 부부관계 등 자유롭게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비용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리드 비용 (2개 기준): 약 63만 원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비용: 약 610만 원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시술비용: 약 110만 원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삽입을 하게 된다면 약 800만 원의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2,3도 방실차단 등이 있는 경우 보조로 대퇴동맥으로 일시적 체외용심박동기 장치술을 하게 됩니다.

체외용 인공 심박동기 시술 비용: 약 44만 원

체외용 인공 심박동기 리드 비용: 약 11만 원

 

※추가적으로  sheath, 조영제 등등 비용까지 한다면 총 65만 원 정도의 비용이 따로 발생합니다.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삽입과 동시에 체외용 인공 심박동기 삽입도 한다면 총비용은 1000만 원 안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삽입형 제세동기 시술도 위와 동일하게 시술이 진행되고 비용도 비슷하게 발생합니다.

 

입원기간과 병원마다 금액적인 부분이 상이하므로  정확한 금액을 산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댓글